EXPANSION OF THINKING IN INVESTMENT

투자에 대한 생각의 확장

728x90
반응형

퀀트투자 5

[QI] 백테스팅 - 강환국 울트라 전략 (밸류+퀄리티+이익 모멘텀)

[강환국 울트라 전략] * 매수전략 - PER, PBR, PSR, PFCR - GP/A, 자산성장률, 영업이익/차입금 증가율, 주가 변동성 - 최신 분기 영업이익 성장률(QoQ, YoY), 최신 분기 순이익 성장률(QoQ, YoY) - 신F-스코어 3점 주식에만 투자 * 매도 전략 - 리밸런싱은 반기/분기로 진행한다. '하면 된다! 퀀트 투자(강환국)'책에서 강환국 울트라 전략은 밸류, 퀄리티, 이익 모멘텀을 아우르는 논리적으로 가장 강력한 전략이라고 소개한다. 밸류, 퀄리티, 이익 모멘텀을 각각 국어, 수학, 영어라고 보면, 울트라 전략은 국어, 수학, 영어 각각 80~90점 맞는 학생이라고 보면 된다고 이야기 한다. 과연 강력한 전략일지 확인해보기 위해 직접 백테스트 해보았다. [전략 백테스팅 1] ..

[QI] 백테스팅 - 파마의 최종 병기 전략 (밸류 + 퀄리티)

[파마의 최종 병기 전략 : 밸류+퀄리티] * 매수전략 - PBR, GP/A 자산성장률(YoY) - 가중 평균 순위가 가장 높은 기업 매수(PBR 50%, GP/A 25%, 자산성장률YoY 25%) - 제외 : 시가 총액 상위 80%, PBR 0.25 이하, GP/A 0이하, 자산성장률 -20% 이하 (심각한 문제가 있을 가능성 제외) * 매도 전략 - 리밸런싱은 분기로 진행한다. 하면 된다! 퀀트 투자(강환국 저자) 책에 따르면, 파마 교수에게 배운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시장은 효율적이다. (잘 모르겠다) - 소형주가 대형주와 주가지수보다 수익률이 높다. - 저PBR 주식이 고PBR 주식과 주가지수보다 수익률이 높다. - 수익성 지표가 높은 주식이 수익성 지표가 낮은 주식과 주가지수보다 수익률이 높..

[QI] 백테스팅 - 강환국 가치+성장+가속화 전략

[강환국 가치+성장+가속화 전략] * 매수전략 - 가치 팩터 : PER, PSR, POR, PGPR - 성장 팩터 : 매출액성장률(YoY), 매출총이익성장률(YoY), 영업이익성장률(YoY), 순이익성장률(YoY) - 가속화 팩터 : 매출액성장 가속(YoY), 매출총이익성장 가속(YoY), 영업이익성장 가속(YoY), 순이익성장 가속(YoY) * 매도 전략 - 리밸런싱은 분기로 진행한다. 일단, 늘 좋은 가르침을 주시는 강환국 님께 정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이분의 유튜브 채널, 할 수 있다! 알고 투자(915편)를 보고, 직접 백테스팅해 보았다. [전략 백테스팅 1] - 가치 팩터 - 조건 · PER, PSR, POR, PGPR · 소형주 : 시총 하위 20% · 제외 : 금융주, 지주사, 관리종목,..

[QI] 강의 - 퀀트투자 무작정 따라하기(강환국) (1편) - 투자의 목표, 퀀트 투자, 자산배분 비법

책 '할 수 있다! 퀀트 투자'를 읽고, 퀀트투자에 대해 관심이 생겨 저자 강환국님의 강의도 듣게 되었다. 이 분께 퀀트투자 관련하여 많은 인사이트를 받았다. 1편에서는 투자의 목표가 무엇인지, 퀀트투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해야하는지, 자산배분의 목표는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하도록 하겠다. 이 중 가장 인상깊었던 내용은 '퀀트투자는 기회주의 투자의 극치다.'라는 말이 아닐까 싶다. 공부하면 할 수록 격하게 공감이 간다! 1. 투자의 목표 1) 지출은 총 자산의 4%, 자산은 연 지출의 25배 - 예를 들어, 자산이 10억이면 4천만원을 써도 원금이 줄어들 걱정을 안해도 된다. - 바꿔 말하면 연 지출액의 25배, 즉 10억 정도 모으면 죽을 때 까지 지출 할 수 있다는 의미다. - 단, 전제 조건은 내가..

[BOOK] 할 수 있다! 퀀트 투자(강환국) (1편) - 왜 계량투자를 해야 하는가

'할 수 있다! 퀀트 투자'라는 책은 정말 주옥같은 내용이 많아서, 챕터별(1, 2, 3편)로 정리하며 머릿속에 각인시켜보려 한다. 1편은 계량투자 초심자를 위해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준비운동 단계'에 해당한다. 계량투자 전략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핵심용어와 개념을 살펴본 후 우리 뇌가 왜 주식투자에 적합하지 않은지, 계량투자를 통해 어떻게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1. 핵심 개념 장착하기 * 시가총액 = 주가 * 주식 수 - 기업의 가격이다. - 대형주(시가총액 상위 200위 주식)와 소형주(시가총액 하위 20% 주식)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쓰인다. * CAGR = (최종 자산 / 최초 자산)^(1 / 햇수) - 1 - 연복리 수익률(CAGR : Compound Annual..

READING/BOOKS 2022.11.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