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SION OF THINKING IN INVESTMENT

투자에 대한 생각의 확장

728x90
반응형

변동성 2

[BOOK] 마법의 돈 굴리기(김성일) (1편) - 자산배분을 이용한 스노우볼 투자법

김성일 저자의 '마법의 돈 굴리기'라는 책은 내가 자산배분에 대한 개념을 익히기 위해 약 반년 전에 읽었던 책이다. 머릿속에 명확하게 정리해 보기 위해, 이 책을 다시 꺼내 들었다. 1편에서는 우리는 왜 투자를 해야 하는지,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왜 자산배분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1. 우리는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1)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삶의 목적은 아니지만, 삶의 수단으로써의 돈, 행복 혹은 생존을 위한 수단으로써의 돈은 중요하다. - 부자가 되는 세 가지 방법(앙드레 코스톨라니) : 부유한 배우자를 만나는 것, 유망한 아이템으로 사업을 하는 것, 투자를 하는 것 2) 소리없이 내 돈이 사라지고 있다. * 생존자 편향과 사후확신 편향의 예시 - 생존자 편향 ..

READING/BOOKS 2023.02.10

[QI] 샤프지수와 리스크(변동성), 그리고 맹점

'샤프지수란 높을수록 좋다.' 라고 무작정 생각해왔는데, 문뜩 왜 높을수록 좋을까? 꼭 그럴까? 헛점은 없을까?를 생각해보다가, 좋은 유투브를 영상을 보고 정말 많은 인사이트를 얻었다. 그 내용을 정리해본다. 1. 샤프지수 * 샤프지수란? 샤프지수 = 수익률 / 리스크 샤프지수 = (포트폴리오 수익 - 무위험 이자율) / (포트폴리오 수익 - 무위험 이자율)의 표준편차 - 아래 수익률 리스크 그래프에서 기울기 값을 샤프지수라 한다. · 빨간선의 샤프지수 = (10% - 3%) / 10% = (17% - 3%) / 20% = 0.7 · 파란선의 샤프지수 = (17% - 3%) / 10% = 1.4 · 수익률과 표준편차 모두 연율(annual)로 환산해서 계산한다. - 수익률이 높은 전략일수록 평균추세의 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