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SION OF THINKING IN INVESTMENT

투자에 대한 생각의 확장

728x90
반응형

빅데이터부동산투자 2

[부동산] 입주물량 - 지역별 분석 및 순위

- 앞으로 최소 1년에서 최대 3년까지의 미래 입주 물량 데이터를 확인한다고 할 때, 향후 입주 물량이 과도하게 많다면 전세 가격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고, 매매가 역시 상승 흐름이 저하되거나 보합세 또는 하락세로 방향을 바꿀 가능성이 크다. - 향후 입주 물량이 매우 적다면 신축 아파트의 추가 공급이 적어 전세가와 매매가의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 하지만, 입주물량이 과도하거나 부족하다고 하여, 100% 확률로 무조건 매매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한다고 예상하는 것은 오판이다. 다양한 빅데이터를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 리치고는 장기간의 입주 물량을 산출하기 위해 다른 기관과 통계에서는 볼 수 없는 재개발, 재건축 관련 데이터들까지 취합하여 입주 물량 데이터를 구축..

[부동산] 전세가율 - 지역별 분석 및 순위

- 전세가율이란 전세가격을 매매가격으로 나눈 것이다. - 부동산 투자자들이 이 지표를 필수적으로 확인하는 이유는, 소위 '갭투자'라 하여 부동산을 매수한 후 전세입자를 구하여 내 자본금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 투자자 입장 : 전세가율이 낮아질수록 현금을 더욱 많이 투입하여야 하므로 투자 수요가 줄어들게 되고, 전세가율이 높아질수록 자본이 적게 들어가 잠재 투자 수요가 높아진다. - 실거주자 입장 : 전세가율이 높아질수록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좁혀지기에, 입주 물량이 많지 않고 전세 물량의 공급은 적다면 어쩔 수없이 주택을 매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매매 물량의 공급이 적어질수록 공급은 없는데 수요가 많아져 가격이 상승할 것이다. - 전세가율은 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금리가 낮..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