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SION OF THINKING IN INVESTMENT

투자에 대한 생각의 확장

728x90
반응형

매경이코노미 14

[매경E] 자영업 스케일업 (2194호) - 기업가형 소상공인, 2023 담대한 예측

매경이코노미 2194호에서는 자영업자들을 기업가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시시때때로 힘든 시기를 겪는 자영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글로벌화를 통해 한국 경제의 신성장동력을 찾겠다는 것이다. 창업을 꿈꿔왔던 사람들이 환호할만한 내용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2023년 일어날 20가지 예측을 정독해 보았는데, 올해가 어떻게 지나갈지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을 그려볼 수 있었다. 이번 편은 기업가형 소상공인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올해 지원 및 육성 정책은 무엇인지, 2023년 20가지 예측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해 봤다. 1. 기업가형 소상공인 1) 기업가 정신 지닌 '혁신형 자영업자' * 기업가형 소상공인 - 기업가 정신과 장인 정신을 갖추고 창의적 사업 모델을 통해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매경E] 포스트 코로나 (2193호) - 엔데믹 블루에 빠진 한국 경제, 새해 아파트 분양, 금값 상승

이번 매경이코노미 2193호는 희망인 줄 알았던 '엔데믹'이 위기였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그 외에 올해 아파트 분양시장과 금값 상승에 대한 기사를 가져와봤다. 이번 편에서는 첫째, 한국 경제가 왜 엔데믹 블루에 빠졌는지, 국내 상장기업의 실적 변화가 업체별로 어떠한지, 포스트 코로나 위기의 실체와 해법은 무엇인지, 둘째, 새해 아파트 분양 물량은 어떻고, 서울 분양 예정 단지는 어디인지, 셋째, 금값이 오르는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한지, 금에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1. '팬데믹'보다 무서운 '엔데믹' 1) 엔데믹 블루에 빠진 한국 경제 * 엔데믹 블루 - 자영업자 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이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이고 있고, 회복할 것으로 여겼던 내수 시장은 꽁꽁 얼어붙었다. -..

[매경E] 결국, 금융위기? (2182호) - 금융 위기 시나리오

이번 호에서는 레고랜드 사태를 비롯하여, 부동산 PF와 관련된 각종 문제가 어떻게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2008년 국제 금융위기와 어떠한 점이 닮았는지, 금융위기가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지, 최악의 시나리오는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다. 그 외로, 우리나라 공모시장이 왜 불신의 시장이 되었는지도 흥미로운 기사였는데, 이 부분도 함께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1. 레고랜드 사태와 문제점 1) 주요일지 2011년 9월 - 강원도 레고랜드 유치 확정 2012년 8월 - 강원도와 멀린사, 레고랜드 개발 시행사로 '엘엘개발' 설립, SPC 'KIS춘천개발유동화주식회사'를 통해 2050억원 규모의 ABCP 발행하여 공사대금 조달함. 2013년 10월 - 강원도, 멀린사 본협..

[매경E] 역발상 투자(2179호) - 위기 속에 기회가 있다

매경이코노미 역발상 투자편에서는 부자는 위기 속에 탄생한다며 위기 속 기회를 찾으라는 메세지를 던져준다. 머리 속으로는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인간 본성 때문인지 행동으로 옮기기는 참 쉽지 않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역발상 투자전략을 정독해보았다. 1. 위기의 시대에 역발상투자를 하라. - 위기 국면에서 기업이 퀀텀 점프를 이뤄낸 사례는 많다. (사례: SK그룹의 SK하이닉스 인수, 대신증권의 저축은행 인수, 드라마앤컴퍼니의 자소설닷컴 인수 및 이안손앤컴퍼니, 슈퍼루키 인수 등) - 역발상투자를 하려면 알짜를 제대로 분석할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2. 기업 역발상 투자전략 - 업계에서 가장 좋은 빈티지가 언제냐고 한다면 경기 침체가 본격화되는 시점이다. (빈티지 : 자산운용자금 유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