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SION OF THINKING IN INVESTMENT

투자에 대한 생각의 확장

728x90
반응형

INVESTING 103

[매경E] 꿈틀거리는 서울 집값, 시험대 선 JM노믹스 (2315호) - 서울 아파트값 상승, 집값 좌우할 5대 변수, 부동산 규제 방향, 부동산 시장 투자법

매경 이코노미 2315호에서는 서울 아파트값 상승에 대해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이재명 정부는 주택 공급 위주 정책을 펴겠다고 공언했지만,당장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대출, 세금 규제 등 가용한 카드를 모두 동원해야 할 처지다. 과연 어떠한 정책으로 집값을 잡을 수 있을지, 집값이 잡히긴 할지 궁금하다. 오늘 정리한 기사 내용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이유집값 좌우할 5대 변수새 정부 부동산 규제 방향부동산 시장 투자법 집값은 국민들의 삶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된 경제 지표이자 정서적 지표다.따라서 집값의 급등락은 현 정부의 지지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경제 운용의 난이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사회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집값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최..

[매경E] '폭풍 전야' 상법 개정 (2314호) - 상법 개정과 주요 쟁점, 떨고 있는 K-원전, SMR시장 두각

이번 2314호 매경이코노미에서는 상법 개정과 주요 쟁점, 이재명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덜덜 떨고 있는 K-원전에 대한 기사를 가져와봤다. 첫째, 새롭게 꺼내든 상법 개정안은 어떤 내용인지, 상법 개정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 국내 증시 상승의 핵심 요소와 투자할만한 업종은 무엇인지, 상법 개정으로 인한 기업 대응 전략에는 무엇이 있을지, 둘째,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는 어떠한지, 세계 각국이 원자력으로 방향을 바꾼 이유는 무엇인지, 왜 빅테크들이 원전으로 눈을 돌리는지, SMR시장이 무엇이며, 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지, 한국의 AI 에너지 대란과 이에 대한 대응 전략엔 무엇이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원자력 발전이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과도기적 에너지원이자, 미래의 혁신적인 기술..

[매경E] 이재명 시대 개막, 재테크 판이 바뀐다 (2313호) - 미리보는 JM노믹스, 이재명 시대 부동산·금융 투자법, 스테이블코인 시대 재테크

이번 매경 이코노미 2313호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으로 인해관련 공약이나 정책에 대한 내용을 중요하게 다룬다. 여기에 스테이블 코인까지 짚고 넘어가 보도록 하겠다. 첫째, 이재명 대통령의 각 분야 정책과 공약은 무엇인지,이재명 시대에 '산업 기상도'는 어떠할지, 이재명 부동산 공약과 세금 정책은 어떠하며, 부동산 투자전략은 어떻게 짜야할지,금융 흐름과 투자법은 어떻게 될지,둘째, 스테이블코인이 뜨는 이유와 가장 활발하게 쓰이는 분야는 어딘지,스테이블코인 시대 재테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미국과 중국의 디지털 통화 패권 전쟁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스테이블코인을 선점하기 위해 각국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스테이블코인의 리스크는 무엇인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효용은 무엇이며, 관련 규제 및..

[매경E] 흔들리는 달러 패권, 韓 투자자는 어디로 (2312호) - 관세 전쟁 여파, 미국 자산 시장,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 수혜 업종과 피해 업종, 재테크 생존법

이번 매경이코노미 2312호에서는흔들리는 달러 패권을 메인 기사로 다루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신뢰가 무너지며, 달러 지위가 위태로운 상황인데,이와 관련한 내용을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 준다. 관세 전쟁 여파로 현재 미국 자산 시장은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 이와 관련하여 유럽과 중국의 입장은 어떤지, 관세·환율·금리 '삼각파도'가 한국 경제에 미칠 관전 포인트는 무엇인지, 한국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수혜·피해 업종은 어딜지, 기업과 정부의 전략, 그리고 개인의 재테크 생존법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기축통화인 달러 지위가 흔들림으로써,한국 경제에 수출 감소, 경제 성장 둔화, 환율 변동성 확대, 금융시장 불안정성 증대 등다방면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이에 대한 철저한 대..

[부동산] 부동산 시장과 부동산 경기 - 부동산 시장 특성, 부동산 경기 순환과 특성, 부동산 경기 측정지표

1. 부동산 시장 1) 의의 - 부동산 권리의 교환, 가격결정, 배분 및 수급의 조절이 일어나는 추상적인 기구 2) 특성 ① 시장의 국지성 : 부동산의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부동성)으로 인해 부동산은 지역성(인구, 경제 활동, 인프라 개발 등의 지역적 요인에 영향)을 띤다. ② 거래 정보의 비공개성(비대칭성) : 부동산의 개별성, 행정적 규제, 사회적 관행 등으로 거래사실 등을 외부에 공개하기 꺼리는 관행 존재 > 정보수집이 어렵고 정보탐색 비용이 높다. ③ 부동산 상품의 비표준화성(비동질성) : 부동산은 비동질적이므로 표준화한 대량생산이 불가능 > 개별성으로 인해 일물일가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④ 시장의 비조직성 : 일반 시장과 달리 도매상 및 소매상 등의 조직화가 곤란하다. ⑤ 수요공급의 비조..

[부동산] 부동산의 개념과 특성 및 공부(公簿)

1. 부동산의 개념 협의의 부동산 민법상 토지와 그 정착물로 정의된다. 준부동산(의제부동산) - 등기, 등록 등의 공시방법을 갖춤으로써 부동산에 준하여 취급되는 특정 동산이나 동산과 일체로 된 부동산의 집단이다. - 입목, 공장재단, 광업권, 어업권, 선박, 광업재단, 항공기, 자동차, 건설기계 등이 해당된다. 복합부동산 부동산을 물리적, 경제적, 법률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음을 말한다. 2. 부동산을 바라보는 측면 (복합개념) 유형적 측면 기술적·물리적 측면 - 자연적 조건(지질, 지형, 고저 등)과 인공적 조건(토목 및 건축물)에 관심을 가지며, 측량·설계·시공 등의 대상으로 부동산을 정의한다. - 자연물, 공간, 위치, 환경 등의 속성을 가진다. 무형적 측면 경제적 측면 - ..

[매경E] 오너家 승계 다툼, 기업이 골병든다 (2311호) - 국내 주요 그룹 재무 구조 및 여건, 제조업 공동화

이번 매경이코노미 2311호는오너가 승계 다툼을 커버스토리로 다루었지만, 그보다 국내 주요 그룹 재무구조 및 여건과 제조업 공동화를현 상황에서 더 중요한 내용으로 인지했기에, 관련 기사 내용을 가져와봤다. 첫 번째는 악화되는 국내 주요 그룹 재무구조 관련 기사다. 10대그룹의 재무 실상은 어떠한지, 주요 그룹의 단기성 차입금 및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어떠한지, 기업이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비등록 유동화 증권 발행이 증가하고 있는데,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해결 방안은 무엇이 있을지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두 번째는 국내 제조업 공동화에 대한 내용이다. 제조업 공동화란 무엇이며, 그 영향과 요인이 무엇인지, 어떠한 부작용을 초래하는지, 제조업 공동화 관련하여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은 ..

[매경E] 0% 성장의 늪 (2310호) - 한국의 제로 성장, 주요 산업별 위기 요인과 영향, 저성장 시대 재테크와 돌파 해법

매경 이코노미 2310호에는 '한국 제로성장'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한국 경제는 현재 구조적인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고, 2040년 '제로 성장'의 현실에 직면할 것이라 경고한다. 한국은 구조 개혁 지체로 좀비 기업이 양산되어, 기업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어 압박을 받는 처지에, 설비 투자를 하지 않고 잉여자금을 축적하고 있다. 게다가 민간 소비가 둔화되고 있는 이 상황에서 국내 생산기지들이 해외로 빠져나가질 않나.. 포지티브 규제에 경직된 노동 환경까지.. 참.. "엎친데 덮친 격"이라는 말이 이런 상황에 쓰이는 말인 듯하다. 이러한 저성장 시대에서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지, 이 악순환의 고리를 어떻게 하면 끊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이번 호에서..

[경제용어] 경제금융용어 96선 - (30) 명목금리

[한국은행이 발행한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김승호 회장님이 추린 96개의 용어]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 경상수지,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골디락스경제, 공공재, 공급탄력성, 공매도, 국가신용등급, 국채, 금본위제, 금산분리, 기업공개, 기준금리, 기축통화, 기회비용, 낙수효과, 단기금융시장, 대외의존도, 대체재, 더블딥, 디커플링, 디플레이션, 레버리지 효과, 만기수익률, 마이크로 크레디트, 매몰비용, 명목금리, 무디스, 물가지수, 뮤추얼펀드, 뱅크런, 베블런효과, 변동금리, 보호무역주의, 본원통화, 부가가치, 부채담보부증권(CDO), 부채비율, 분수효과, 빅맥지수, 상장지수펀드(ETF), 서킷브레이커, 선물거래, 소득주도성장, 수요탄력성, 스왑, 스톡옵션, 시뇨리지, 신용경색, 신주인수권..

[매경E] 불신의 늪, 한국 자본시장 (2212호) - 불신의 바이러스, 불황 속 마케팅 전략 'PTSD'

매경 이코노미 2212호에서는 두 가지 기사 내용을 가져왔다. 한국 자본시장에 퍼진 불신 바이러스, 불황 속 마케팅 전략 'PTSD'다. 첫째, 불신 깊은 자본 시장 현황은 어떠한지, 낙인 효과 덫에 빠진 한국 자본 시장 특징은 무엇인지, 제도권 금융 신뢰 얻기 위한 대책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둘째, 불황에 오히려 웃는 업종은 무엇인지, 불황 속 마케팅 전략 'PTSD'란 무엇이며,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Distrust Virus, 불신의 바이러스 1) 불신 깊은 자본 시장 ① 현황 - 개인 투자자는 '팩트 체크'에 충실한 증권사 리서치 애널리스트 보고서보다 텔레그램 유료방에서 떠도는 확인 안 된 정보에 귀를 쫑긋 세운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폄훼하는 유튜버가 인기를 끌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