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SION OF THINKING IN INVESTMENT

투자에 대한 생각의 확장

728x90
반응형

INVESTING/ECONOMICS MAGAZINE 34

[매경E] '빌드업' K로봇 (2202호) - K로봇 산업지도 올가이드

매경이코노미 2202호에서는 가장 흥미로웠던 한 개의 기사를 소개해보려 한다. 이번 편에는 커버스토리인 K로봇에 대한 기사를 정리한다. 로봇 시대를 앞당기게 한 원인은 무엇인지, K로봇 산업지도에서 제조용과 서비스용 로봇의 특징은 무엇이며, 제조용·서비스용 로봇 관련 기업은 각각 어딘지, 로봇 부품 중 로봇 밸류체인의 핵심은 무엇이며, 로봇 완제품의 핵심은 무엇인지, K로봇이 더 발전하려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로봇주 투자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K-로봇: BEYOND 1) 로봇 시대 앞당긴 코로나19와 전쟁 ① 코로나19 확산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며, 방역이나 청소 등 로봇으로 대체 가능한 영역에서의 서비스 로봇 수요가 늘었다. ② 고령화에..

[매경E] '불야성' K조선 (2201호) - K조선의 위용, 펄펄끓는 2차전지, 맞춤형 실천 단계 돌입한 ESG 2.0

이번 매경 이코노미 2201호에서는 도움이 될만한 3가지 기사를 가져와봤다. 첫째, 한국의 친환경 선박 수주 급증한 이유가 무엇인지, K조선이 화려한 부활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지, K조선의 위험요인은 무엇이고, K조선이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둘째, 2차전지 밸류체인은 어떠한지, 양극재의 화학적 구성은 어떻게 되는지, 2차전지 성장성은 어떠할지, 우리나라에 있어 위협 요인은 무엇이며, 우리 기업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셋째, ESG 배싱(Bashing) 현상이 왜 일어났는지, ESG 1.0과 비교하여 ESG 2.0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차별화된 ESG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지, 재무성과를 높이는 ESG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상세히 정리해 보았다. 1. 'K조선'의 ..

[매경E] 올해의 금융 CEO (2200호) - 인구 문제와 스타트업의 도전, 로봇산업, GTX B노선

이번 매경이코노미 2200호에서는 올해의 금융 CEO가 커버스토리이지만, 기사 내용 소개는 제외한다. 그 대신 어떤 산업이 성장하고, 발전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기사를 소개해보려 한다. 다만, 올해의 금융 CEO 1위는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려 한다. 커버의 사진은 '조정호' 메리츠 금융 그룹 회장님으로, 올해의 금융 CEO 1위에 오르신 분이다. 영향력 1위를 비롯해, ESG, 글로벌 전략, 핀테크 혁신 등 전 부문에서 고른 평가를 받아 종합 1위에 올랐다. 오늘은 매경이코노미 기사의 3가지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다. 첫째, 한국의 인구문제는 어떠한 상황인지, 스타트업이 새로운 기회를 발견할 수 있는 4가지 영역은 무엇인지, 현재 인구 문제에 도전 중인 스타트업은 어디인지, DMF란 무엇인지, 둘째, 왜 ..

[매경E] 부활하는 J-컬처 (2199호) -J-웨이브, 리튬 전쟁, K패션의 재발견

이번 매경이코노미 2199호에서도 다양한 산업군이 어떤 방향으로 가고있는지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어, 배울 점이 참 많았다. 개인적으로 가장 유익했다고 생각한 기사 3가지를 소개한다. 첫째, 약진하는 J-컬처와 그 배경은 무엇인지, J-컬처가 사랑받는 요인은 무엇이고, 한계는 무엇인지, 둘째, 우리나라와 글로벌 기업의 리튬 확보 경쟁은 어떠한지, 리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진 이유가 무엇인지, CATL발 치킨 게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리튬 확보 경쟁 상황속에서 민관 대응 체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 셋째, K패션의 체질 개선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잘나가는 브랜드의 특징은 무엇인지, 온라인 패션 플랫폼이 어떻게 성장했는지, 제조업체의 자체 브랜드 운영으로 어떻게 입지를 넓혀가고 있는지, 버티컬 빌..

[매경E] 댕냥이 상전시대 (2198호) - 반려동물 시장, 로펌 시장, 크립토 스프링

이번 매경이코노미 2197호에서는 반려동물, 로펌, 코인 시장의 전반적인 현황과 전망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첫째, 반려동물 시장 통계는 어떠하고, 반려동물 사업에 뛰어든 대기업은 어딘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및 제품에는 무엇이 있는지, 펫 산업 문제점과 해결방안은 무엇일지, 둘째, 2022년 로펌 매출액 순위는 어떤지, 로펌시장의 판이 왜 커지고 있는지, 셋째, 어떤 코인이 많이 올랐으며, 반등한 이유가 무엇인지, 2023년 코인 투자 5대 포인트는 무엇인지, 코인투자 시 참고할만한 국내 서비스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1. 댕냥이 상전시대 1) IPO 혹한기에도 '펫'은 기대주 * 반려동물 관련 통계 - KB경영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

[매경E] 이수만 제국은 왜 무너졌나 (2197호) - 공유 전기자전거, 카피캣 논란

이번 매경이코노미 2197호는 SM 인수전에서 하이브와 카카오의 '쩐의 전쟁'이 펼쳐지고 있는데, 그 내용을 커버스토리로 내걸었다. SM 인수전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모르고, 그 양상이 시시각각 달라지기 때문에 이 기사 내용은 생략한다. 하지만, 분명 엔터 업계의 지각변동을 불러일으킬만한 사건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는 있겠다. 이번 편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기사 두 개를 소개한다. 첫째, PM 시장 추이는 어떠하고, 공유 전기자전거 창업 관련 체크 포인트는 무엇인지, 창업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둘째, 현재 어떤 카피켓 논쟁이 있는지, 카피캣 논란의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스타트업 기술을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단히 요약 정리해 보았다. 두 번째 기사 내용은 스타트업 창업..

[매경E] 부활하는 중국 세계 경제 살려낼까 (2196호) -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변화, 중국 Alive

이번 매경이코노미 2196호는 경제칼럼(전기차 배터리 관련)의 내용이 인상 깊어 처음으로 정리해 보았다. 리오프닝으로 인한 중국 경제의 부활도 우리나라 경제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기 때문에 필히 알아야 될 사항이라고 생각하여, 집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첫째, 전기차 배터리 산업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기업과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둘째, 중국과 미국이 상호의존적 관계가 되면 어떠할지, 각종 기관이 중국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중국이 세계 경제의 구원자가 될 것인지, 중국의 부활에 대해 한국이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할지, 중화권 증시의 어떤 업종에 투자하면 좋을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물론, 중화권 증시에 대한 증권가의 추천 업종은 참고하되, 투자 결정은 더 깊은 ..

[매경E] 집값 바닥? (2195호) - 집값 바닥 논쟁, 챗GPT, 증권형 토큰

이번 매경이코노미 2195호는 개인적으로 정말 흥미롭고 도움될만한 기사들이 많았다. 특히 챗GPT를 직접 해보니,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에 정말 놀랐다. 데이터의 정확성과 깊이가 기존에 있던 다른 AI서비스보다는 확실히 좋은 듯 하다. 앞으로의 공부에 많이 활용해봐야겠다. 정리한 기사 내용은 3가지다. 첫째, 현재 집값이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시기인지, 집값 반등의 이유와 변수는 무엇인지, 부동산 시장 전망에 활용하는 핵심 지표(7가지)가 무엇인지, 둘째, 챗GPT란 무엇이고, 현재 수준은 어느정도인지, 챗GPT의 한계점과 앞으로 풀어야할 문제는 무엇인지, 셋째, 증권형 토큰이 무엇이며, 제도권으로의 편입이 어떻게 되고 있는지, 증권형 토큰발행으로 증권가에서 기대하는 추가 수익원은 무엇이고, 국내 STO..

[매경E] 자영업 스케일업 (2194호) - 기업가형 소상공인, 2023 담대한 예측

매경이코노미 2194호에서는 자영업자들을 기업가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시시때때로 힘든 시기를 겪는 자영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글로벌화를 통해 한국 경제의 신성장동력을 찾겠다는 것이다. 창업을 꿈꿔왔던 사람들이 환호할만한 내용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2023년 일어날 20가지 예측을 정독해 보았는데, 올해가 어떻게 지나갈지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을 그려볼 수 있었다. 이번 편은 기업가형 소상공인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올해 지원 및 육성 정책은 무엇인지, 2023년 20가지 예측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해 봤다. 1. 기업가형 소상공인 1) 기업가 정신 지닌 '혁신형 자영업자' * 기업가형 소상공인 - 기업가 정신과 장인 정신을 갖추고 창의적 사업 모델을 통해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매경E] 포스트 코로나 (2193호) - 엔데믹 블루에 빠진 한국 경제, 새해 아파트 분양, 금값 상승

이번 매경이코노미 2193호는 희망인 줄 알았던 '엔데믹'이 위기였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그 외에 올해 아파트 분양시장과 금값 상승에 대한 기사를 가져와봤다. 이번 편에서는 첫째, 한국 경제가 왜 엔데믹 블루에 빠졌는지, 국내 상장기업의 실적 변화가 업체별로 어떠한지, 포스트 코로나 위기의 실체와 해법은 무엇인지, 둘째, 새해 아파트 분양 물량은 어떻고, 서울 분양 예정 단지는 어디인지, 셋째, 금값이 오르는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은 어떠한지, 금에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1. '팬데믹'보다 무서운 '엔데믹' 1) 엔데믹 블루에 빠진 한국 경제 * 엔데믹 블루 - 자영업자 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이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이고 있고, 회복할 것으로 여겼던 내수 시장은 꽁꽁 얼어붙었다. -..

728x90
반응형